...♤ 이슈 ☆ 핫이슈/_ 언론속으로

4.19에 왜 우리는 이렇게 우울한가

이보규 2010. 4. 21. 22:12

 

 

4.19에 왜 우리는 이렇게 우울한가

                                                                              김 정 남(언론인)

 2010년은 새해가 밝기가 무섭게 경술국치 100주년, 6.25한국전쟁 60주년, 4.19혁명 50주년, 광주민주항쟁 30주년이 되는 해라고 떠들썩했다. 그 여러 기념일 중 가장 먼저 4.19가 다가왔는데도 정작 4.19혁명을 되새겨 보려는 움직임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반면에 6.25한국전쟁을 각기 자신들의 시각에서 돌이켜 보려는 시도는 일찍부터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19는 우리모두의 관심과 기억에서 사실상 실종된 상태다. 그것이 반드시 천안함 사태 때문일까.

 적어도 1980년대까지만 해도 많은 사람들에게 4.19는 그 말만 들어도 가슴이 벅차오르게 하는 날이었다. 그 날을 못잊어 해마다 4월이면 대학가에서는 4.19 제 몇 선언문이 나왔고 30여년에 이르는 군부독재의 전 기간에 걸쳐 한번도 4월은 조용히 넘어가지 않았다. 그래서 해마다 4월은 '잔인한 달'이 되었다. 5공 초에는 군산의 한 고등학교 교사들이 4.19와 같은 역사적인 날이 소리없이 넘어가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소나무 아래서 4.19영령들에게 술 한잔 올리고 그 앞에서 자신들의 무력함을 반성했다. 그것이 국가보안법상의 반국가단체를 구성한 것으로 조작되어 온갖 고초를 다 겪었다. 4.19란 말은 반민주의 다른 한편에게는 금기였던 것이다.

                                  한국 민주주의의 대장전

 수유리 4.19혁명탑에 쓰여진 비문은 다분히 애상적이다. 1970년대 아직은 열혈청년이었던 백기완은 4.19영령들을 향해 당신들에게 혼백이 있으면 돌아와 탑을 부수라고 울부짖었다. 4.19영령들이이말로 수유리 산골짜기에 유폐되어 산새나 진달래와 벗하고 있어서는 안된다, 그 탑을 부수고 나와 4.19때 그랬던 것처럼 광화문 네거리에서 유신독재와 맞서싸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1982년 부산미문화원 방화사건 때 한 여학생은 그의 최후진술을 "해마다 사월이 오면/ 접동새 울음 속에 / 그들의 피맺힌 하소연이 들릴 것이요/ 해마다 사월이 오면 / 봄을 선구하는 진달래처럼 / 민족의 꽃들은 사람들의 가슴마다에 피어나리라"로 시작하여 온 방청석의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나도 그 자리에 있었다.

 4.19는 비록 글로 되어있지는 않지만 이 나라 민주주의의 대장전이요, 대헌장이다.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국민이 인간답게, 인간으로서의 권리와 존엄을 가지고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삶의 정치사회적 조건을 말한다. 민주주의는 궁극적으로 국민이 원하지 아니하는 정치권력을 폐지할 수 있는 국민의 혁명권을 담보로 하여 존립한다. 4.19는 우리 역사에서 처음으로 국민이 혁명권을 발동하여 국민이 원치 아니하는 정치권력을 폐지시킨 장엄한 국민혁명이었다. 피로 쓴 역사만큼 장엄한 헌장은 없다. 4.19가 바로 그 헌장이요, 기념비인 것이다.

 인도의 네루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이렇게 표현했다. "그들 프랑스 국민은 기적을 이루었다. 그러나 혁명의 힘이 탕진되자 반혁명이 나타났다. 그리고 다시 독재자 나폴레옹이 나타났다. 그러나 반혁명도 나폴레옹도 시민의 역사를 옛날로 되돌려 보낼 수는 없었다." 혁명이란 당장의 성과보다도 그것이 제시하는 역사의 방향성과 상징성에서 찾아야 한다. 이념의 이정표와 기념비적인 상징을 혁명이라고 한다면, 4.19는 명백한 민주주의 혁명, 바로 그것이었다.

 4.19혁명이 있었기에 6.3사태도, 삼선개헌반대투쟁도, 1970년대의 그 치열했던 반유신투쟁도, 1980년대의 광주민주화운동도, 그리고 마침내 민주주의를 쟁취한 6월 항쟁도 있을 수 있었다. 4.19혁명이 있어서 비로소 이 땅의 '민주화'가 가능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길로 자기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북한이 적색독재에 머물러 있음에 반하여 대한민국이 민주주의를 향유할 수 있게 된 것도 원류를 거슬러 올라간다면 백색독재를 무너뜨린 4.19혁명에 가 닿는 것이다.

                                  긍지와 자부와 훈계이거늘

 4.19혁명 그 자체로 우리는 자랑스러웠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최초의 긍지와 자부심을 갖게 한 것이 바로 4.19혁명이었다.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바라는 것은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을 구하는 것과 같다"고 했던 외국언론은 4.19혁명이 성공한 뒤 "한국인들은 자유로운 정부를 향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명했다"고 썼다. 그때 우리는 이렇게 노래했다. "미국인이 물으면/ 서구인이 물으면/ 쿠바인이 물으면/ 우리는 이렇게 대답하리라/ 1960년 4월/ 맨몸으로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대한민국의 청년학생이라고…"

 4.19는 나이어린 초등학생에서 백발이 성성한 노교수에 이르기까지 이나라 온국민이 참여해서 성공시킨 국민혁명의 원전이었다. 4.19혁명은 온 국민의 애국심이 결집해서 만들어낸 위대한 역사였다. 초등학생도 "나는 알아요/ 엄마 아빠가 아무말 안해도/ 오빠와 언니들이 왜 피를 흘렸는지" 했고, 한 여대생 아버지는 데모에 참여하지 않은 딸에게 이런 편지를 썼다. "내가 네게 바라는 것은 '비굴한 행복'보다 '당당한 불행'을 사랑할 줄 아는 여성이 되어지이다, 하는 간절한 마음이었다. …서글픈 일이다. 분한 일이다….총탄에 넘어진 아들 딸을 가진 부모들의 비통함보다 털끝하나 옷자락하나 찢기지 않은 너를 딸로 가진 애비의 괴로움이 더 크고 깊구나"

 4.19혁명은 오늘도 우리에게 "자유와 민주의 나무는 시민의 손으로 심어지고,시민의 피로 양육되며, 시민의 칼로 수호되지 않으면 존립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국민의 혁명권은 항상 깨어있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주고 있다. 나는 4.19영령들이 돌아와 탑을 부수기까지는 바라지 않지만, 나라의 상징거리요 4.19혁명의 현장이었던 광화문 네거리에 4.19민주혁명탑이 서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월의 하늘은 이렇듯 청명한데 4.19혁명 50주년을 맞이하는 우리네 심사는 왜 이리 우울하고 스산한가.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글쓴이 / 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