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보규와 생각하기/_ 이보규자유로운글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8) - 조직이나 직장을 선택하는 기준

이보규 2014. 3. 7. 00:18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8) - 조직이나 직장을 선택하는 기준

 

직장을 새로 선택하는 경우는 즉시 취업 가능성과

초임이나 급여 수준과 다른 복지 등의 대우를 근거로 한다.

그러나 전문직인 경우는 차원 높은 관심사를 두고 저울질하기도 한다.

그리고 개인이 가진 동기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성취동기(成就動機)가 높은 사람은 성취 지향적인 조직을 선택한다.

첨단업종으로 미개척 분야의 진취적이고 발전 가능성을 선호한다.

반면에 지배동기(支配動機) 높은 사람은 권력지향적인 조직을 선택한다.

군인이나 법조계나 공무원 또는 공사 등을 선호한다.

또 친화동기(親和動機) 높은 사람은 우호적이고 지원적이며

조직문화가 부드러운 직장을 선호한다. 그래야 안정감과 행복감을 가질 수 있다.

 

자기의 기본 욕구에 맞는 조직에서 일하는 경우

대우나 다른 조건이 좀 덜 맞아도 충분히 만족하여 근무할 수 있다.

반대로 기본 욕구에 맞지 않는 조직은 다른 조건이 탁월해도

궁극적으로 안정감을 해치기 때문에 조직을 쉽게 떠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직의 풍토나자신의 욕구나 가치관을

냉정하게 검토해 보고 전반적인 분위기

또는 문화와 경영철학 등을 잘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다.

그래도 직장에서 적어도 3년에서 5년은 지속적으로 몰입해야 된다.

유능해도 처음부터 직장을 떠돌아다니는 모습이 좋은 일이 아니다.

 

직장을 새로 선택하는 경우는 즉시 취업 가능성과

초임이나 급여 수준과 다른 복지 등의 대우를 근거로 한다.

그러나 전문직인 경우는 차원 높은 관심사를 두고 저울질하기도 한다.

그리고 개인이 가진 동기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성취동기(成就動機)가 높은 사람은 성취 지향적인 조직을 선택한다.

첨단업종으로 미개척 분야의 진취적이고 발전 가능성을 선호한다.

반면에 지배동기(支配動機) 높은 사람은 권력지향적인 조직을 선택한다.

군인이나 법조계나 공무원 또는 공사 등을 선호한다.

또 친화동기(親和動機) 높은 사람은 우호적이고 지원적이며

조직문화가 부드러운 직장을 선호한다. 그래야 안정감과 행복감을 가질 수 있다.

 

자기의 기본 욕구에 맞는 조직에서 일하는 경우

대우나 다른 조건이 좀 덜 맞아도 충분히 만족하여 근무할 수 있다.

반대로 기본 욕구에 맞지 않는 조직은 다른 조건이 탁월해도

궁극적으로 안정감을 해치기 때문에 조직을 쉽게 떠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직의 풍토나자신의 욕구나 가치관을

냉정하게 검토해 보고 전반적인 분위기

또는 문화와 경영철학 등을 잘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다.

그래도 직장에서 적어도 3년에서 5년은 지속적으로 몰입해야 된다.

유능해도 처음부터 직장을 떠돌아다니는 모습이 좋은 일이 아니다.

          <청암  이보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