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보규와 생각하기/_ 이보규자유로운글 753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5) -사람 구실을 하고 살자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5) -사람 구실을 하고 살자 사람은 끊임없이 변하고 문명의 발자취를 따라 진화하며 살고 있다. 사람은 문화적 균형이 맞아야 사람 구실 할 수 있다. 그래야 문화인 행세를 할 수 있고 정상적인 사람으로 대우를 받는다. 개인도 그렇지만 한 국가나 사회도 마찬가..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4) 사람의 삶은 문화를 만든다.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4) 사람의 삶은 문화를 만든다. 사람도 그냥 생명체일 뿐이고 동물이다. 특히 사람은 들판에 혼자 사는 것도 아니고, 또 수천 년을 이어온 역사 속에 살며,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므로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 도덕이나 문화가 있다. 그래서 사람은 언제 어떤 사회..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3) - 잘 먹고 잘 살아라.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3) - 잘 먹고 잘 살아라. 우리가 사는 세상의 제도나 여러 가지 현상을 이 인체의 개방 체계로 보면 이해하기 쉽고 배울 것도 많다. 인체가 활동을 하려면 에너지를 공급하는 음식물이 필요하다. 그래서 영양을 골고루 갖출 수 있는 음식을 적당량 먹고 소화시켜 열..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62) - 생명은 호흡과 음식물의 균형에서 유지 된다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62) - 생명은 호흡과 음식물의 균형에서 유지 된다 사람은 생명체이므로 살기 위해서는 공기와 물과 음식이 들어가야 된다.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숨을 들이쉬는 것이다. 공기는 반드시 들어간 양과 비슷하게 또 나와야 된다. 그래서 호흡이라고 한다. 즉 공..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161) - 다른 사람이 나를 좋아하게 하자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161) - 다른 사람이 나를 좋아하게 하자 모든 사람에게 사랑을 받으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다 가질 수 있다. 행복하다는 것은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하는 것이라고 한다. <사랑 받는 여자 사랑 받는 여자>라는 책에서 본 말이다. 사람은 적응이 원활하려면 주위와 ..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0) - 자살은 정의 불균형에서 생긴다.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60) - 자살은 정의 불균형에서 생긴다. 최근에 자살(Happiness의 불균형)사이트라는 것이 많이 생겨났다고 한다. 사람들은 왜 자살을 하려 할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두 다 살기 위해 그렇게도 버둥거리는데, 왜 극소수의 사람들은 못 죽어서 안달인가? 러시아의 소설..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9) - 환경에 적응하고 스스로 변화하라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9) - 환경에 적응하고 스스로 변화하라 진화론자 다윈은 “생존하는 종(種)은 가장 힘센 것도 아니고 가장 머리 좋은 것도 아니며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생물학자들의 말을 빌면 인간이 지상을 지배하는 최후의 종(種)이라고 한다. 인간은 확실..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8) - 조직이나 직장을 선택하는 기준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8) - 조직이나 직장을 선택하는 기준 직장을 새로 선택하는 경우는 즉시 취업 가능성과 초임이나 급여 수준과 다른 복지 등의 대우를 근거로 한다. 그러나 전문직인 경우는 차원 높은 관심사를 두고 저울질하기도 한다. 그리고 개인이 가진 동기의 종류와 수준에 ..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7) - 나는 어떤 스타일의 인재인가?

이보규의 생각나누기 (157) - 나는 어떤 스타일의 인재인가? 나 홀로 대장인 사람이 있다. 조직은 사람을 강제하고 비합리적이며 개인의 자유를 무단 침해하여 평소 개인의 능력발휘에 장애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다만 간섭과 제약으로 개인역량을 억압하는 것을 피하자는 것이다..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56) -직장에서는 어떤 사람을 원하는가?

이보규의 생각 나누기 (156) -직장에서는 어떤 사람을 원하는가? 관리직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승진으로 상위 직급이 되고 책임이 큰 직무나 자리를 찾는다. 이런 사람들은 문제 해결, 대인 기능, 자기 통제, 의사 결정 능력이 탁월하면 이런 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직업적 안전과 안정성..